본문 바로가기
생각나는 대로 적은 글/일상의 일기

파이썬 공부하기 (2) - 변수, 부울, 함수, 리스트

by 생각하는지성 2024. 9. 27.

이 글은 김현정의 청소년을 위한 파이썬 300제를 정리한 것이다.

 

변수 : 값이 정해져 있지 않은 수.

변수에는 정수형 변수, 실수형 변수, 문자형 변수 등이 있다.

변수를 정의할 때는 = 기호를 이용한다. a= 3 은 a라는 변수는 3의 값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변수 이름은 대문자, 소문자, 숫자 등을 할당할 수 있으나, 숫자로 이름을 시작할 수는 없다.

 

부울형 변수

부울형 변수란 참 True와 거짓 False 상태 두 가지로 판정된다.  예를 들면, 두 실수의 대소를 비교하는 부등식이나 두 정수형 변수가 똑같은지 비교하는 등식에 대해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다. 

부울형 변수의 타입은 type(), 판정 결과는 print() 로 출력한다.

a. 정수형, 문자형에 대해 참 거짓 판단하기

print(3>5) -> False
print(3<5) -> True
print("d"=="d")-> True

b. 변수에 대해 참 거짓 판단하기

A= 3
B=5
print(A<B) -> True 

 

함수: 입력값을 넣으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print, type, int 같은 파이썬 고유 함수들이 있고, 사용자가 직접 함수를 정의할 수도 있다. 

함숫값을 변수로 정의할 수도 있다.

a=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이렇게 써주면 a는 사용자가 입력한 나잇값을 할당한다.

 

리스트

리스트란 데이터의 집합으로 대괄호[]에 원소를 넣음으로써 정의한다. 리스트를 이루는 각각의 원소를 항목이라 칭하고, 항목 간 쉼표를 넣어 구분한다. 1부터 5까지의 집합을 리스트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A=[1,2,3,4,5]

이때 리스트 내 항목의 순서를 인덱스라 칭한다. 인덱스는 맨 왼쪽 항목부터 0부터 1씩 차례대로 올라간다. 즉, A 리스트에서 1은 인덱스 0, 2는 인덱스 1, ... 5는 인덱스 4가 된다.

인덱스의 각 항목을 호출하는 방법은 대괄호 안의 숫자를 넣는 것이다. A[0] = 1 , A[1] = 2 이런 식이다. 만약 리스트의 항목 값을 변경하고 싶다면 A[0] = "6" 과 같이 재정의하면 된다.

 

리스트 함수

리스트 내 항목 추가, 변경, 삽입, 정렬 등의 기능을 위한 파이썬 내장 함수이다. 각 기능을 간략하게 살펴보자

append - '덧붙이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인덱스 마지막에 항목을 덧붙인다.

index - '색인'의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특정 항목이 인덱스 몇 번째 위치하는지 알려준다.

insert - '삽입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인덱스 원하는 위치에 항목을 삽입한다.

remove - '제거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원하는 위치에 있는 항목을 제거한다.

sort - '정렬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리스트를 가나다 순 혹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생각나는 대로 적은 글 > 일상의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125  (0) 2025.01.25
대학생 자원봉사  (0) 2025.01.08
수영 포기..?  (0) 2024.09.25
파이썬 공부하기(1)  (1) 2024.09.24
언제나 내가 있어~  (0)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