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4 출입처의 역기능 논란? 강준만의 미디어 법과 윤리 제8장 부분을 읽고 정리하는 생각. 아래는 책 내용이다. 기자들에게는 언론사 단독으로 취재하기는 어려운 권력기관이나 기업 등을 대상으로 공동 취재를 하는 출입처가 있다. 기자들은 출입처를 중심으로 뭉쳐 그들 간 친목 교류를 하거나, 취재원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다. 1) 출입처 자격 논란: 출입처를 들어갈 수 있는 자격이 과연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예를 들어,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식 때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지는 기자실 출입을 거부당했는데, 이처럼 출입처는 언론사에 대한 검증을 명분으로 폐쇄적이기도 하다.2) 출입처 로비 :1에 파생되어 생기는 문제로, 출입처에 들어오려는 언론사는 기성 언론들에 의한 상호 검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출입처에 들어가고자 하는 언론사들은.. 2024. 8. 28. 231121 광화문 따스한 햇살이 내리쬐던 어제 오전, 광화문 광장을 갔다. 지하철역에서 내리자마자 시끄러운 방소소리가 들려왔다. 밖에 나가 확인해보니 노조가 도로의 일부를 점거한 채 집회를 하고 있었다. 집회 주체는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었다. 이곳은 크게 1) 노란봉투법(노조법 2, 3조) 거부권 거부 2) 택배기사들의 수수료 인상 및 물량 부족 현상 해결 등을 주장했다. 노란봉투법은 폭력이나 파괴를 제외하고, 노동자들의 쟁의행위에 대하여 사용자의 손해배상 청구나 가압류를 제한한다. 더불어 하도급이나 간접고용노동자도 사용자와 교섭에 나설 수 있게 한다. 이 집회를 뉴스로 접했다면 나는 언론사의 편견하에 판단했을지 모른다. 이건 택배 서비스를 볼모로 한 협박이라느니, 거리를 점거해 시민들의 발을 묶었다느니, 기업.. 2023. 11. 21. 새벽에... 남형도 기자의 '체헐리즘'을 알게 되었다. 체헐리즘. 체험과 저널리즘을 합친 말이라고 한다. 기자가 직접 체험한 뒤 새로운 관점에서 사회문제들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근데, 취재한 주제들이 일상과 맞닿아 있으면서도 흥미로움을 가져다주었다. 예를 들면, 이런 거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82210055982205 2023. 11. 19. CSS 공부 (1) : CSS 탄생 배경, 기본 문법 이 글은 생활코딩의 WEB 2 CSS 시리즈 동영상 내용에 기반한다. 또한 본 글은 개인적인 학습 및 정리 용도로 쓴 것이다. CSS 기초 강의들을 조금씩 보고 있는데 CSS를 어디서부터 알고 모르는지, 뭘 더 배워야 하는지 이런 메타인지적인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 이걸 보완하고자 쓰는 글. WEB 2 CSS 1, 2, 3편까지의 내용 인터넷이 최초로 생겨났을 때, 웹 문서를 HTML으로만 표현할 수 있었다. 사람들은 웹 문서에 디자인 요소를 추가하길 원했다. HTML에 디자인 명령어들을 추가하는 것은 미봉책에 불과했으므로 사람들은 HTML과는 다른 새로운 웹 디자인 언어를 만들기로 하였다. 그것이 바로 CSS 이다. CSS 는 웹에 있어 디자인적 요소만을 담당한다. 따라서 검색엔진은 HTML과 CSS를.. 2023. 9. 10. 이전 1 2 3 4 5 6 7 8 ··· 29 다음